728x90

분류 전체보기 187

[Linux] 파일 및 디스크 용량 확인

ls -l 파일 용량 확인 가능하지만 구체적으로 확인불가 man ls 자세하게 확인가능하다 ls -a 숨김파일도 보임 (a를 입력하면 .~~~ 파일이 보여짐) ls -alS 파일 크기가 가장 큰 것부터 크기순 정렬 ls -alhS h옵션이 추가되면 파일의 크기를 명확하게 알 수 있음 du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의 크기 확인 du -s 전체 파일의 크기 확인 du -h 전체 파일 크기 확인 df 현재 사용하고 있는 디스크의 용량을 확인 저널링? -성능이 뛰어난 복구능력이 뛰어난것 (복구시간단축) 변환이 쉽게 가능 -ext2 + 저널링 = > ext3, ext4 ->xfs

Linux 2021.08.12

[Linux] 리눅스 root계정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을 때

가상환경을 실행하여, 위를 선택해논 상태로 e를 누르면 이러한 cmd창이 뜬다 가운데보다 살짝내려가 아래있는 rhgb quiet 부분을 init=/bin/sh 로 수정해준 후, ctrl+x를 눌러 재시작 루트관리자가 사용할 수 있는 프롬포트가 뜰 시 id 를 쳐보면 root인걸 확인할 수 있다. cmd창에 passwd 를 입력하면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럼 Authentcation token manipulation error가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마운트가 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이므로 mount -o remount,rw / 읽기모드형태일땐 읽기쓰기 형태로 remount하겠다 이 상태에서 passwd로 새로운 패스워드를 지정하면된다. 이렇게하면 새로운 패스워드로 변경 가능하다. 악..

Linux 2021.08.11

[Linux] apache-tomcat 관련 정리

아파치 - 우리가 흔히 부르는 것은 Apache HTTP Server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만든 웹서버 프로그램 웹서버 - 하드웨어부분 : 웹 서버 소프트웨어와 웹 사이트의 구성 요소 파일을 저장하는 컴퓨터를 의미 - 소프트웨어 부분 : HTTP 서버 의미 URL 및 HTTP를 이해하는 소프트웨어 HTTP서버는 저장하는 웹 사이트의 도메인 이름을 통해 액세스 할 수 있며 이러한 호스팅 된 웹 사이트의 콘텐츠를 최종 사용자의 장치로 전달 브라우저에서 웹 서버에서 호스팅되는 파일이 필요할 때마다 브라우저는 HTTP를 통해 파일 요청 아파치 서버 - 클라이언트에서 요청하는 HTTP요청을 처리하는 웹서버를 의미 정적타입의 데이터만 처리하기 때문에 톰캣이란 것이 등장 톰캣WAS - 톰캣은 아파치 소프트웨어 ..

Linux 2021.08.10

HTTP / HTTPS / SSL관련 정리

HTTP - HTTP는 간단한 프로토콜로 장점이 있는 반면, 암호화하지 않고 평문으로 통신을 하기 때문에 도청의 위험성이 있음. 통신 상대를 확인하지 않아 올바른 사용자인척 위장하여 통신을 할 수 있는 등 완전성을 증명x ->원본 데이터에 대한 변조의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음.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한 것 => HTTPS HTTPS는 증명서를 통해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의 신원 확인 및 데이터 암호화, 인증, 안정성 보호를 할 수 있는 프로토콜 HTTP 통신에 소켓 연결 부분을 SSL Layer로 대체 HTTP는 직접 TCP와 통신하지만 SSL을 사용하는 경우 HTTP는 SSL과 통신하고, SSL이 TCP와 통신 SSL을 사용하면 서버, 클라이언트 모두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 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

Linux 2021.08.10

[Linux] 부팅관련 용어

Run level 리눅스(유닉스)의 런레벨 런레벨 상태 설명 0 리눅스(종료상태) 유닉스: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모드 유닉스(PROM모드) 리눅스: Power Off 모드 1 부팅 직후 상태 시스템 싱글 유저 모드, 로컬 파일 시스템이 마운트 되지 않은 상태 2 정상상태 멀티 유저 모드(NFS 클라이언트 모드) 3 정상상태 멀티유저모드, UNIX 기본 Run level 4 사용 안함 5 유닉스(종료 상태) 시스템 power off모드 리눅스(정상 상태) 멀티 유저 모드 (x윈도우 환경으로 실행) 6 재부팅 시스템 리부팅 종료하는것이 리눅스와 우분투가 다르다!! INIT 상태 - 런레벨 명령: 시스템이 런 레벨을 이동할 때 사용 부팅 과정의 이해 1) 바이오스 과정..

Linux 2021.08.10

[Oracle]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필수 요소 데이터 파일 - 실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 컨트롤 파일 - 데이터베이스의 내부적 변경을 제어하는 파일 리두로그 파일 - 데이터의 변경에 대한 로그를 기록하는 파일 기타 파일 - 동적 / 정적 파라메터 파일 등 수동DB 생성 절차 파라메터 파일 생성 > 데이터 베이스 생성 > 필요 스크립트 수행 > 데이터베이스 생성 완료 정적 파라메터 파일과 동적 파라메터 파일 모두 존재한다면 데이터베이스 오픈 시 우선 순위는 동적 파라메터 파일이 더 높음 필수 스크립트 수행 -데이터베이스 생성 후 데이터 딕셔널리 뷰 또는 여러 패키지를 생성하기 위해 다음의 스크립트를 수행해야 한다. CATALOG.SQL - 데이터 딕셔너리 뷰 생성 CATPROC.SQL - 필요 패키지 생성

Oracle 2021.08.09

[DBMS] 데이터베이스 개요 및 운영 환경

DBMS 목적 - 파일 처리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 1) 데이터 독립성 보장 미흡 2) 데이터 일관성 보장 문제 3) 데이터 무결성 보장이 곤란 4) 공유성 및 사용 편의성 저조 5) 낮은 경제성 6) 보안 관리 곤란 DBMS 특징 - 중복성 통제 - 메타 데이터 - 사용자 중심의 데이터 처리 - 데이터의 정합성 보장 - 백업 및 복구 기능 - 질의 처리 - 보안 기능 WAS ( Web Application Server ) - 데이터베이스와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소프트웨어

Oracle 2021.08.09

[Linux] grep, find 관련 정규 표현식

grep grep는 파일 안의 내용을 찾을때 사용한다. grep ^root grep.dat - grep.dat파일에서 root로 시작하는 것을 찾는다 grep $sh grep.dat -sh로 끝나는 것을 찾는다 grep 'r..t' grep.dat - r로 시작하고 t로 끝나는 4자리를 찾는다 grep '[0-9]. *' grep.dat - 0에서 9숫자가 하나라도 들어가면 찾는다 find find는 특정하게 원하는 파일을 찾는다 ex) find ~ -name grep.dat -print - ~(모든디렉토리)에서 파일명이 grep.dat인 파일을 찾는다 -print는 생략가능 find ~ .type d -type이 디렉토리인 파일을 찾는다 시간관리 mtime -수정시간을 의미 atime -접근시간을 의미..

Linux 2021.08.06
728x90